수요 급증…전세시장 ‘금리 공포’ 탈출

안녕하세요. 돈이야

지난해 말 전세에서 월세로 급격하게 이동했던 렌터카 수요가 다시 전세로 이동하고 있다.

월세는 오른 반면 전세값은 하락했고, 대출금리를 낮추는 효과로 풀렸다.

전세 수요가 회복되면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지고 있는 전세가격 하락세도 누그러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또 금리인상 둔화로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함께 하락하는 추세가 바뀔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건수 추이. /그래픽=bizwatch.

전세값 떨어지고 금리 떨어지면 거래량 ‘쑥’ 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의 콘도 전세 거래건수는 1만1440건(3·14센서스 기준)으로 전월(10.74건)보다 약 1400건 증가했다. 등록마감까지 약 15일 정도 지난 것을 감안하면 추가 거래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전체 전월세 거래에서 전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2월 49.5%까지 떨어졌으나 올해 다시 상승해 지난달 57.8%를 기록했다.

지난해 내내 이어진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수요가 위축되면서 전세가격도 집값과 함께 급락했다. 월세 대신 월세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월세’ 현상도 이어졌다. 대출에 높은 이자를 내는 것보다 매달 집세를 내는 것이 낫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때 7%대에 달했던 예금금리가 4%대대로 떨어졌고, 반면 월세는 계속 오르면서 다시 전세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소비자는 늘 주거비 부담이 적은 곳으로 몰린다”고 설명했다.

“급격한 하락세 완화…서울, 내년에도 회복 기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전세가격 급락세가 전세 수요가 살아나면서 점차 누그러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특히 서울의 경우 강남구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전세 물량이 많지 않아 가격 하락이 계속될 가능성은 낮다.

함영진 직방빅데이터랩 소장은 “서울의 경우 입주가 많아 올해 상반기 전세가격이 하락했지만, ins는 후반에 다시 떨어졌습니다. 아마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고 이사도 “현재 강남에 입주가 많지만 더 이상 임대료 하락 현상이 오래 가지 않을 것”이라며 “추후 회복세에 가격 변동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금리 인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부동산 시장이 연착륙하는 추세에 접어들면서 이에 따른 매매 및 부동산 가격 하락 추세가 바뀔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부동산 시장이 급격하게 위축되면 가격도 같이 떨어질 수 있는데 보통 매매가와 전세가가 반대의 추세를 보인다는 설명이다.

윤지혜 부동산R114 연구팀장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매매가와 전세가가 처음에는 일치하다가 이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