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예비창업패키지 지원내용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창업 또는 창업을 계획하는 분들을 위한 가장 단비적인 정부지원사업인 예비스타터팩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Pre-Entrepreneurship Package는 말 그대로 국가가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1. 사전 시작 패키지 개요

예비 스타터 팩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신청인은 지원 자격을 얻기 위해 통지 당시 사업자 등록증(개인 또는 법인)을 소지하고 있지 않아야 합니다.
약 650억원의 예산으로 총 992개 기업을 선정해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창업기업 사업화 최대 1억원(평균 4,800만원) 지원
  • BM 고도화, MVP 제작, 후속 연계 등의 창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전담 멘토를 1:1로 매칭하여 사업계획서 검토/수정, 관리/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각 수용기관별 창업자문창구를 운영하여 토탈 창업자문을 제공합니다.

계약기간은 선정 후 약 8개월입니다.

2. 스타터 팩을 위한 예비 사업 계획 준비

  1. 주최기관 선정
    – 주관기관은 귀하가 평소 거주하는 지역이 될 수도 있고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과 지원하는 지역에 따라 주관기관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2. 시작 항목 이름 선택
    – 국책과제를 위한 사업계획서를 여러 번 써본 경험이 있어서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때 어떤 사업을 하는지 한 눈에 보는 것이 중요하고 직관적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생각보다 중요하다.
    심사관은 그 거래가 특정 기능을 가진 사업이라는 것이 분명할 때 그것을 좋아하는 것 같았습니다.
  3. 시장 조사 수행
    – 물론 회사를 설립하기 전에 시장 조사를 하셨어야 하지만, 최대한 객관적인 시장 조사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 대한 리서치도 정확하게 시장에 대한 데이터를 파악하고 핵심 포인트를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왜? 내 사업이 필요한지에 대한 끝없는 질문과 답변
    – 사업 아이템을 선정하고 시장조사를 할 때 왜 우리 사업 아이템이 필요한지에 대한 답을 계속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상품성도 좋고 아이템도 좋아보이지만 경쟁사 아이템과 무엇이 다르고 특화되었는지 정확히 표현해야 한다.
    그리고 아이템이 많더라도 가장 똑똑한 아이템 하나만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5. 팀 구성
    – 대표자 및 팀원의 이력서를 기술하되, 해당 경력 또는 회사의 요구에 부합하는 이력서를 기재하도록 합니다.
    또한, 인력채용계획서는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추가 채용하는 방안이므로 작성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그렇게 미리 준비해두면 좋을 것 같아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